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바 4대보험 요율 및 보험료 계산법 총정리

by 작은방 2021. 6. 9.

월 60시간 이상 근로하는 알바라면 4대 보험 의무가입 대상자가 됩니다. 알바생도 정규직과 같은 근로자이기 때문입니다. 4대 보험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습니다. 오늘은 4대 보험 요율 및 종류별 보험료 계산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4대 보험 요율

국민연금

국민연금 보험 요율은 근로자와 회사 똑같이 4.5%입니다. 요율 계산 적용 범위로는 월 기본급 최저 32만 원 ~최고 503만 원 내에서 산정이 됩니다. 만약 월 소득이 32만 원 이하라면 최저 범위 32만 원 X4.5%= 14,400원 보험료를 납부해야 되고, 월 소득이 503만 원 이상인 경우 503만 원 X4.5%=226,350원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따라서 국민연금 보험료 최저는 14,400원이며, 최고는 226,350원이 됩니다.

 

 

건강보험

건강보험료는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으로 되어있습니다. 건강보험 요율은 근로자와 회사 똑같이 3.43%이며, 장기요양보험 요율은 11.52% 인데 근로자가 50% 부담이고 회사가 50% 부담을 맞게 됩니다.

 

고용보험

고용보험의 요율로는 노동자는 실여급여의 0.8%입니다. 

 

산재보험

산재보험료는 모두 회사의 부담입니다. 산재보험 기준은 업종별로 다릅니다.

 

 

보험료 모의 계산법

▶︎4대보험 모의 계산하기◀︎

 

 

 

4대보험 종류와 가입시 장점 총정리

1인 이상 근무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은 의무적으로 4대 보험을 가입해야 합니다. 사용자와 근로자들이 4대 보험에 대해 의외로 잘 모르시거나 매월 납부해야 하는 부담감에 꺼려하시는 분들이 있

dhlfhqe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