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린이를 위한 주식 용어 쉽게 설명 및 정리 - PER, ROE, EPS, BPS, PBR

by 작은방 2021. 5. 11.

주식 투자를 할 때 어려운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 투자를 하려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단어들 있습니다. 바로 주당순이익(EPS), 자기 자본 이익률(ROE), 주가 수익비율(PER), 주가순자산비율(PBR), 주당순자산가치(BPS)입니다. 이 단어들은 주식투자의 가장 기본이 되는 수치들입니다. 오늘은 기본 용어들을 저만의 방식으로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완전 기본 주식 용어들을 알고 싶은 분들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주식 초보를 위한 주식 용어 쉽게 설명 정리

저금리로 인하여 주식이 인기가 많아져 주식에 관심이 없던 분들도 주식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주식을 처음 접하게 된 주린이(주식+어린이)분들은 주식을 처음 접하게 되면서 이해하기 어

dhlfhqek.tistory.com

 

 

 

 

기본 단어

먼저 용어 설명에 앞서 몇 가지 단어를 외워주시고 용어 설명을 보시면 더욱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 Book value (장부가치, 총자본)
  • Equity (자기 자본)
  • Earning (벌다)
  • Return (수입)
  • Share (주식 수)

 

book value=equity, earning=return 서로 같은 말이라고 봐도 됩니다.

 

위 단어들을 외워주시면 아래 용어들을 빠르게 이해할 실수 있고 다른 용어들도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주식 기본 용어 5가지

주당순이익(EPS)

EPS = 당기순이익 / 주식수 = earning / share

 

주당순이익(EPS)이란 '1주당 얼마를 버냐?'라는 뜻을 가진 용어이고 단위는 (원)입니다.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입니다. EPS가 높아진다는 것은 이익이 높아진다는 말이며, 따라서 높아질수록 기업은 성장한다 보시면 됩니다.

 

EPS 계산 EX) 100,000주를 가진 A기업의 1분기 영업이익이 1억 일시 EPS=1억/100,000=1000원

 

위 수식에 따라 기업 순이익(당기순이익)이 커질수록 EPS는 올라가고, 주식 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EPS는 낮아집니다. 또한 EPS는 주가 수익비율(PER)을 계산할 때 기초가 되기 때문 알아야 할 용어입니다.

 

 

 

자기 자본 이익률(ROE)

ROE(%) =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순자산) = return / equity

자기 자본 이익률(ROE)이란 자기 자본으로 몇 퍼센트의 이익을 냈는지를 뜻합니다. ROE는 return on equity 약자입니다 

예를 들어 자본 100억을 가지고 1년에 10억을 만들 수 있으면 ROE=10% 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ROE가 높을수록 주가도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ROE는 적정 주가를 계산할 때 자주 쓰이는 용어 이므로 완벽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투자 지표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주가 수익비율(PER)

PER = 주가 / 주당 순이익(eps) 

주가 수익비율(PER)이란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지 뜻합니다. 따라서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되어있는 기업입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PER 수치를 같은 산업, 섹터들을 비교하여 높고 낮음을 보고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 판단해야 합니다.

 

ex) A기업 주식 가격이 91,000원이라 하고 1주당 수익이 13,000원이라면 PER는 7이 됩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주가순자산비율(PBR)이란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이 낮을수록 자산가치가 시장에서 저평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당순자산가치(BPS)

BPS = (기업의 총 자산 - 부채) / 발행한 주식수 = book value / share

주당순자산가치(BPS)는 book value per share의 약자이고, 기업이 영업을 멈췄을 때 주주에게 1주당 얼마나 나눠지는 나타냅니다. BPS가 높을수록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이 좋아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투자하기 전 숙지해야 할 기본적인 용어들을 알아봤습니다. 저만의 방식으로 설명한 거라 부족한 부분이 있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위 용어들은 기본적이고 중요한 용어이기 때문에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글을 보고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주식을 공부할 때 중요한 것은 조급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꾸준히 공부하고 조급하지 말고 천천히 하시면 조금씩 성장해나가는 자신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모두 성공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D 

 

댓글